The Concept of the Heavenly Realm in Daesoon Belief: Focu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Heavenly Realm in Daoism

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에서 천계는 ‘구천상제’라는 신앙 대상의 간칭(簡稱)에도 나타날 정도로 핵심적인 관념이지만 중요성에 비해 연구는 단편적이며 수도 매우 적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명확한 근거 없이 구천을 아홉 개의 하늘로 전제하고 이를 동아시아의 전통적 구천설을 통해 설명했는데, 활용된 천계설이 대순 신앙과 명확한 접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대순 신앙의 공식 천계관인 삼십육천을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었다. 대순 신앙의 기원이 되는 무극도의 천계관을 설명한 공식 문헌은 거의...

Full description

Saved in:  
Bibliographic Details
Main Author: Park, Sangkyu (Author)
Format: Electronic Article
Language:Korean
Check availability: HBZ Gateway
Fernleihe:Fernleihe für die Fachinformationsdienste
Published: Han gog jong gyo hag hoe 2022
In: Chongkyo yŏnku
Year: 2022, Volume: 82, Issue: 2, Pages: 175-207
Further subjects:B Mugeuk-do(Limitless Dao)
B 삼십삼천
B the Jade Emperor
B 구천
B Daesoon Jinrihoe
B Tushita Heaven
B the Ninth Heaven(Gucheon)
B 도솔궁
B 무극도
B the Thirty-six Heavens
B Tushita Heaven Palace
B 대순진리회
B 옥황상제
B the Heaven of Thirty-three Gods
B 구중천
B 도솔천
B the nine heavens
B 삼십육천
Online Access: Volltext (lizenzpflichtig)
Volltext (lizenzpflichtig)
Description
Summary:대순진리회의 신앙체계에서 천계는 ‘구천상제’라는 신앙 대상의 간칭(簡稱)에도 나타날 정도로 핵심적인 관념이지만 중요성에 비해 연구는 단편적이며 수도 매우 적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명확한 근거 없이 구천을 아홉 개의 하늘로 전제하고 이를 동아시아의 전통적 구천설을 통해 설명했는데, 활용된 천계설이 대순 신앙과 명확한 접점을 지니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대순 신앙의 공식 천계관인 삼십육천을 설명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근본적으로 재검토될 필요가 있었다. 대순 신앙의 기원이 되는 무극도의 천계관을 설명한 공식 문헌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식 문헌 보다는 일제강점기의 관변 기록을 비롯한 여러 외부 관찰 기록을 통해 이를 분석했다. 무극도는 독특한 신전구조와 의례를 지니고 있었는데, 영전(靈殿)과 성전(聖殿)이라는 이원화된 신전과 각 신전에 독립적ㆍ계층적으로 봉안된 신에 대한 서열화된 의례가 그 특징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도솔궁의 ‘삼십삼천도솔천옥황상제’의 신위는 이러한 특징이 나타나는 근본적 원인으로 분석되며, 불교 천계와 도교 천계가 융합되어 있다. 대순 신앙에서 교리적인 위상을 지닌 도교의 보화천존과 불교의 미륵 신앙체계의 천계관을 통해 무극도 신전의 구조를 분석하면 천계는 삼계(三界)의 내외(內外)로 구분되어 있으며 삼계 내의 하늘은 ‘삼십삼천도솔천’으로 옥황상제가 주재하며, 삼계 외의 하늘은 구천으로 구천상제가 관장한다. 이천계관에 가장 부합하는 도교 천계설은 기론적 삼십육천이며 보화천존 신앙의 천계관 역시 이를 기반으로 하고 있어 무극도 천계관은 도교, 특히 보화천존 신앙의 천계관에 기초를 두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영대가 상징하는 구천은 아홉 개의 하늘이 아니라 가장 높은 하늘이며 삼십육천으로 구성되었다고 보아야 한다. 다층적인 무극도의 천계는 이후 정산에 의해 하나로 통일되었는데 이 같은 천계의 변화는 대순 신앙의 삼계 개벽 사상에 부합하며 신앙체계 전반의 전환으로 확인할 수 있다.
The heavenly realm in the belief system of Daesoon Jinrihoe is an essential concept which even appears in the brief appellation, ‘Gucheon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as in Gucheon Eungwon Nwehseong Bohwa Cheonjon Kangseong Sangje (His Holiness the Supreme God Kang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the object of belief. Although the term is considerably important, the range of research is limited, and the number is only a few. ‘Gucheon (the Ninth Heaven)’ has been defined as plural heavens without clear evidence in the research until now. Furthermore, under this premise, it was explained in the theory of the heavenly realm of the East Asian tradition. As the commonality between the heavenly-realm theory in Daesoon belief, and the premise of Gucheon as the Ninth Heaven or the existing East Asian theory has not been specifically found, such an insistence has a limit. In addition, the Thirty-six Heavens, the official heavenly-realm perspective in Daesoon belief, have not been described, so the idea should be re-examined from the fundamental basis. There are only a few official documents that explain the heavenly realm theory of Mugeuk-do (Limitless Dao), which is the origin of Daesoon belief. Accordingly, this analytical study is rather carried out through a variety of other observational records including government-document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ugeuk-do was characterized by its unique shrine structure and rituals; for instance, the dualized shrines named Spirit Hall (靈殿) and the Holy Hall (聖殿), and the rituals for the enshrined gods according to their rank in each temple independently and hierarchically. In particular, the spirit tablet of the Jade Emperor at the Tushita Heaven Palace in the Heaven of Thirty-three Gods, namely the Tushita Heaven, is analyzed as an intrinsic reason for those characteristics. In this aspect, the heavenly realms of Buddhism and Daoism are assimilated with each other. Analyzing the shrine structure of Mugeuk-do through Bohwa Cheonjon (the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of Daoism that has a doctrinal status, and the view on the heavenly realm in the Maitreya belief system of Buddhism, the heavenly realm is divided into the three realms in and out. Additionally, the heaven in the three realms, the Tushita Heaven, the so-called Heaven of Thirty-three Gods, is presided by the Jade Emperor. On the other hand, ‘Gucheon,’ beyond the heavens over the three realms, is governed by Gucheon Sangje. This view is the most compatible with the theory of the heavenly realm in Daoism, fundamentally the Thirty-six Heavens. The view of the Bohwa Cheonjon belief is also based on this perspective. Accordingly, the view on the heavenly realm in Mugeuk-do has its roots in Daoism, especially, the view of the Bohwa Cheonjon belief. In this regard, the Ninth Heaven wherein the Shrine of Gods symbolizes, does not signify nine heavens but the highest heaven, which is assumed to consist of the Thirty-six Heavens. Henceforth, the multi-layered heavenly realm of Mugeuk-do is unified by Jeongsan. Such a transformation of the heavenly realm corresponds to the Great Opening of the three realms in the Daesoon belief. This thought can be assured as the belief system in general has undergone changes.
Contains:Enthalten in: Chongkyo yŏnku
Persistent identifiers:DOI: 10.21457/kars.2022.8.82.2.175